반응형
깃을 사용하면서 깃허브라는 원격 스토리지에 올리는 일이 많았다.
진행하던 프로젝트들을 깃허브에 올려 팀원들과 협업을 하고,
내가 만든 프로젝트들을 공개하기 위함이었는데...
AWS RDS 등 AWS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작성했던
config, properties 파일들 또한 깃허브로 올라가면서 문제가 생겼다.
깃허브를 통해 내 AWS 서비스 키 등을 알게된 사람이
내 키로 본인을 위한 EC2 서버를 열어 사용했다.
AWS에서 메일로 알려주기는 하지만.. 5만원 가량의 결제가 진행되어 버렸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gitignore 파일에 config, properties 파일들을 설정하는 법을 알아봤다.
.gitignore
이 파일에는 다양한 파일들을 설정할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그 지정된 파일들은 깃에 커밋되지 않고 걸러지게 된다.
설정하고 싶은 폴더의 경로를 지정하거나, 파일을 지정할 수 있고,
확장자를 지정해줄 수도 있다.
여기서 안되는 파일들이 있다면 아마 이미 커밋되었던 적이 있던 파일일 것이다.
이 때는 그 파일을 먼저 삭제해주어야 하는데
git bash에서
git rm [파일명]
git commit -m [메세지]
이렇게 명령어를 실행해주면 된다.
이렇게 되면 gitignore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면서 해당 파일이 깃허브로 올라가지 않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