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HTTP를 다음 단계를 이해할 수 있는 수준까지만 설명하겠습니다.
HTTP?
HTTP는 HTML과 같은 하이퍼미디어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프로토콜입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는 OSI 7계층에서의 한 계층입니다.
HTML
웹 개발을 시작하면 기본으로 배우는 것이 이 HTML입니다.
HTML은 웹 페이지가 어떻게 구조화되는지 브라우저에게 알려주는 마크업 언어입니다.
Protocol
프로토콜은 컴퓨터 내부 혹은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입니다.
예를들어서 기기 간 통신이 이루어질 때,
이를 통해 교환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약속해두어야 그에 맞는 동작을 할 수 있으므로 이에관한 약속, 규칙이 존재해야합니다.
이렇게 정의된 규칙의 집합을 프로토콜이라 합니다.
( 저희 대학의 교수님께서는 저와 교수님 사이의 대화를 위한 언어가 이 프로토콜에 해당한다고 간단하게 설명해주셨습니다. )
HTTP!
그렇다면 HTTP는 HTML을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므로 이를 사용하는 곳을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방문하면 사용자의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HTTP 요청을 전송하고 웹 서버는 HTTP 응답으로 응답하여 웹 페이지를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출력하게 됩니다.
웹 서버에서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요청에 맞는 응답을 해줄 때 HTML과 같은 하이퍼미디어 문서를 약속된 규칙으로 전달해줄텐데 이 규칙이 HTTP입니다.
Reference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Overview
HTTP 개요 - HTTP | MDN
HTTP는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기도 합니다. 클라이언트-서버
developer.mozilla.org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Glossary/Protocol
프로토콜 - MDN Web Docs 용어 사전: 웹 용어 정의 | MDN
프로토콜은 컴퓨터 내부에서, 또는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입니다. 기기 간 통신은 교환되는 데이터의 형식에 대해 상호 합의를 요구합니다. 이런 형식을 정
developer.mozilla.org
https://aws.amazon.com/ko/compare/the-difference-between-https-and-http/
HTTP와 HTTPS - 전송 프로토콜 비교 - AWS
1996~1997년에 출시된 최초의 HTTP 버전이 HTTP/1.1입니다. HTTP/2와 HTTP/3은 프로토콜 자체를 업그레이드한 버전입니다.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수정하면서 효율성을 개선했습니다. 예를 들어, HTTP/2는 텍
aws.amazon.com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net] DNS and how it works? (0) | 2023.07.01 |
---|---|
[Internet] What is Domain Name (0) | 2023.06.29 |
[Internet] Browsers and how they work? (0) | 2023.06.27 |
[Internet] How does the internet work? (0) | 2023.06.23 |
[Plugin] VS Code, Intelli J 에서 사용하는 플러그인 (0) | 2022.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