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SpringBoot] SpringBoot에 MongoDB 연결
만들어둔 MongoDB 데이터베이스를 SpringBoot 프로젝트에 연결해보려고 합니다. 목표 데이터베이스에 이름과 나이를 저장하고 확인하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봅시다. 데이터베이스 이름 : test 컬렉션 이름 : Info 의존성 추가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mongodb") 연결 설정 저는 MongoDB Altas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서 해당 URI를 가져와 설정해 주었습니다. Overview에서 본인의 클러스터의 Connect를 클릭합니다. 여기서 Drivers를 선택해 줍니다. 3번에 있는 윗줄을 복사해 주시고 다음과 같이 맞춰줍니다. spring.data.mongodb.uri=mongodb+srv..
[DB] MongoDB Atlas 시작하기
Document 형식의 데이터와 로그값들을 저장하고자 NoSQL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Document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MongoDB를 만들어 사용해보고자 합니다. MongoDB Atlas 서버 생성 MongoDB를 간편하게 클라우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Atlas 서버를 생성해보고자 합니다. https://www.mongodb.com/ko-kr/atlas/database MongoDB Atlas Database | Multi-Cloud Database Service 멀티 cloud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는 개발자 데이터 플랫폼의 핵심 요소로, 데이터를 사용해 빠르고 손쉽게 구축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MongoDB Atlas를 지금 체험해보세요! www.mongodb.com 먼저 위 사이트에서..
[Spring Boot] JPA - MySQL
Mybatis vs JPA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 중 어떤 방법을 선택할지 고민했습니다. Mybatis는 직접 쿼리를 작성한 후 XML 또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데이터 맵핑을 하는 방법이고, JPA는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간의 매핑을 제공해주어서 쿼리를 작성할 필요가 없습니다. Mybatis를 사용해봤던 경험으로 저는 Mybatis를 사용하면서 장기간 프로젝트를 이어나가면 코드가 조금 복잡할 수 있겠다 생각했습니다. (물론 제가 실력이 부족해서..ㅎㅎ) JPA를 사용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장점으로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저는 밑에 있는 이유 때문에 JPA를 선택했습니다. - 코드를 더욱 간결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보다 높은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아직 JPA..
[Version Control System] Git
이전 포스트에서 설명했듯이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클라이언트가 단순히 파일의 마지막 스냅샷을 Checkout 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소를 버전의 히스토리와 더불어 전부 복제하여 사용합니다. 또한 Git은 GitHub와 같은 리모트 저장소를 통해서 다양한 협업이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트는 "ProGit" 책을 기준으로 작성하겠습니다. Git 기초 Git은 다른 VCS와 인터페이스는 비슷하지만, 정보를 취급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Git이 아닌 대부분의 VCS들은 각 파일의 변화를 시간순으로 관리하면서 파일들의 집합을 관리합니다. Git은 데이터를 스냅샷의 스트림처럼 취급합니다. 파일이 달라지지 않았으면 파일을 새로 저장하지 않습니다. 단지 이전 상태의 파일에 대한 링크만 저장합니다. 이로 인..
[Version Control System] VCS
Git을 설명하기에 앞서 버전 관리와 버전 관리 시스템이 무엇인지 살펴봅시다. 소스 코드의 관리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Version Control? 버전 관리는 수정되는 소스 코드들에 버전을 부여해서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버전을 통해 관리하면서 소스 코드의 추적 및 관리가 용이해지며, 개인뿐 아니라 팀이 더 빠르고 스마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Version Control System? 버전 관리를 위해서 버전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게 됩니다. VCS를 사용해서 이전 버전의 상태로 소스 코드를 되돌릴 수 있으며, 누가 언제 수정한 소스 코드가 문제인지 추적할 수 있습니다. VCS는 로컬, 중앙집중, 분산의 방법으로 버전을 관리하여 사용됩니다. Local VCS 로컬 버전 관리 시스템은 ..
[Internet] What is hosting?
Host? 호스팅에서 호스트는 네트워크 호스트라고도 불리며,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나 기타 장치입니다. 인터넷 환경에서 호스트들은 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연결을 수락하는 호스트만이 서버라 할 수 있습니다. Hosting? 그렇다면 호스팅은 무엇일까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호스팅 서비스는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를 실행하여 조직 및 개인이 인터넷에 연결된 콘텐츠 또는 호스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호스팅은 어떤 서비스를 빌려서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인터넷에서의 호스팅은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서버의 일부를 빌려서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Hostings 호스팅의 대표적인 종류는 다음과 ..
[Internet] DNS and how it works?
지난 포스트에서 Domain Name에 관해서 다뤘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그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동작하는지 DNS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DNS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Name Server에서 운영됩니다. 이 시스템은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마치 인터넷에서의 전화번호부와 같다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또한 DNS는 Name Server들이 계층구조로 구현된 분산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알기 위해서 DNS에 대해서 더 자세히 살펴봅시다. DNS services DNS는 4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hostname to IP address tranlation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번역해줍니다. h..
[Internet] What is Domain Name
Domain Name? 도메인 네임은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호스트명이며, 도메인 레지스트리에게서 등록된 이름입니다. 간단하게 말하여 도메인 네임은 인터넷의 물리적 IP 주소와 연결된 기억하기 쉬운 이름입니다. 우리가 IP 주소값을 기억하기 보다는 google.com 과 같이 텍스트로 기억하기가 더욱 수월할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있습니다. ( 간단하게 도메인으로 부르겠습니다. ) Sub domain 하위 도메인은 더 큰 도메인의 일부입니다. google.com의 하위 도메인으로는 main.google.com, docs.google.com, www.google.com 등이 있습니다. Naked domain 네이키드 도메인은 단순히 "www" 접두어가 없는 도메인 주소입니다...